반응형
    728x170

    안녕하세요 깨알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깨알정보입니다. 

     

    입냄새가 나면 스스로 불쾌하기도 한데 타인과 대화도 꺼리게 됩니다. 이를 잘 닦아도 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이것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어떤것이 원인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냄새  원인 

     

    원인은 바로 편도결석입니다. 편도결석은 주로 입냄새가 나고 침을 삼킬 때 목에 이물감이 끼는 듯한 느낌을 주는데요 

     

    양치를 하거나 가래를 뱉을 때 입에서 쌀알 크기의 노란 알갱이가 나오기도 하는데 1.5cm가 넘는 거대 편도결석도 있다고 합니다. 

     

    이 알갱이에서는 생선 비린내 같은 냄새가 나는데요. 음식을 먹지 않아도 이물감이 느껴지거나 입 냄새가 심해졌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생기는 이유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사람은 콧물이 자주 목 뒤로 넘어가 구강에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아 편도결석이 잘 생깁니다.

     

    만성편도염에 걸리는 사람도 포함됩니다. 이유는 염증으로 인해 편도가 부었다 가라앉기를 반복하다 보면 편도음와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인데요

     

    침이 부족해 입안이 건조한 것도 편도결석의 발생 원인으로 성인의 경우 하루 1~1.5L 정도 침이 분비되는데, 침은 입안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씻어내고 침 속에 포함된 면역물질이 구강의 세균 증식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입안이 건조하면 세균번식은 활발해져 편도결석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편도결석 예방방법

     

    입을 벌렸을 때 흰색 이물질이 보인다고 해서 긴 젓가락이나 면봉으로 짜내려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혼자서 결석을 빼내더라도 잔여물 없이 깔끔하게 빼내기란 쉽지 않고 게다가 결석 추출 과정에서 구강 내부가 긁히거나 편도가 상처를 입어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비인후과를 찾아 구강검진을 받고 결석인지 확인한 후 치료하는 게 좋습니다. 

     

    편도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편도염이 생겼을 때 제대로 치료해야 합니다.

     

    입안에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음식물 섭취 후 양치질로 청결이 관리하고 평소 침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수시로 마셔 입안을 적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