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안녕하세요 깨알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깨알정보입니다.

     

    손금으로 병을 알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심장질환으로 사망했던 아이슈타인의 손금을 보고 병을 추측했던 고수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과연 어떤 손금이였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손금을 볼 때 어느손으로 볼까? 

     

    먼저 손금을 알아보기 전 하나의 궁금증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손금을 볼 때 어느손으로 보는것이 좋을까요? 

     

    왼손은 타고난 손금이며 오른손은 만들어가는 손금입니다. 손금은 양손을 다 보기도 하지만 오른손을 보는것이 정석이라고 합니다. 

     

    왼손잡이라면 그 반대의 경우겠죠?

     

       2. 생명선 끝이 잔금들로 뭉쳐있는 경우 

     

    이 손의 손금을 보면 두뇌선이 길어 명석한 두뇌를 가지고 있는 반면 생명선의 끝이 잔금들로 뭉쳐져 있어 심장 질환을 앓았던 사람이라고 추측해보는데요 

     

    실제로 심장질환으로 사망했다던 아인슈타인의 손금이라고 합니다. 

     

       3. 생명선이 끊어진 경우 

     

    위와 같은 손금은 자세히 보시면 생명선이 중간중간 끊어져 있는것이 보이실텐데요

     

    세번이 끊어진 손금을 보고 뇌졸중이나 뇌출혈 등의 뇌질환 계통의 병을 의심했다고 하는데요 

     

       4. 시원하지 못한 생명선 

     

    생명선이 시원하게 밑으로 뻗어가지 못하고 사진과 같이 휘어진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는 생명선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손금은 갑작스러운 이상이나 사고 수로 인해 단명될 수 있다고 합니다.

     

     

       5. 잔가지가 많은 경우 

     

    생명선 밑 부분에 잔가지가 많은 그물형의 손금이 있는데요. 

     

    이런 손금은 여러 가지의 병으로 생명이 중단될 수 있음을 알리는것이라고 합니다. 

     

       6. 암에 걸리기 쉬운 손금 

    위의 사진같이 생명선 위에 다이몬드 형태의 모양이 발견된다면 암을 조심하는게 좋다고 하는데요. 

     

    또한 생명선 위에 이 모양이 있다면 건강에 적신호가 있다는 신호라고 하니 주의하시는것도 좋겠습니다. 

     

    이렇게 생명선으로 알아보는 건강상태와 예방하면 좋은 건강 적신호를 알아보았는데요. 모두 맞는것은 아니니 참고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